"4차 산업혁명 성공하면 성장률 견인 할 것"

산업硏 "2.85%까지 높아져" …제조업·서비스업 융합 가속화 전망

2019-02-24     고윤희 이코노텔링 기자

4차 산업혁명에 제대로 대응하면 10여년 후 1.93%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경제성장률을 2.20%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은 24일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에서 "경제성장률의 둔화 추이는 불가피하다"며 "200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3.0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2016∼2025년 사이에는 연평균 2.71%로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업연구원은

산업연구원은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융합을 더욱 가속시킬 경우 2025년까지 연평균 2.85%의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제조업 성장세가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면서 "반도체, 전기장치, 정밀기기, 정밀화학 분야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4차 산업혁명이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융합을 더욱 가속화해 정보통신서비스, 사업서비스, 문화·오락서비스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후 2026년부터 2035년까지 10년 동안에도 4차 산업혁명의 긍정적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연평균 성장률은 서비스 주도형의 경우 2.20%, 제조업 주도형의 경우 2.12%를 기록하며 경제성장의 둔화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제대로 대비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이 기간 경제성장률은 1.93%까지 낮아진다.

독일과 일본도 4차 산업혁명이 중장기적 경제성장에 기여할 긍정적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독일은 2016년 발표한 전망 보고서에서 "디지털화를 가속할 경우 2030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이전보다 약 4% 증가하고 실업률은 약 20% 감소할 것"이라며 "1인당 국민소득도 4% 더 늘어나고 전 산업 부문에서 약 25만명의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디지털화가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가속화한 디지털화를 통해 경제적 성과와 고용창출을 이룰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일본도 2016년에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통해 '초스마트 사회'(Society 5.0) 전략을 제시했으며, 이 용어를 4차 산업혁명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 경제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이 성공할 경우 2030년 실질 GDP 성장률이 2.0%로 올라가며 현 상황을 그대로 방치 했을 때보다 1.2%포인트 가량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은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이 장기 불황으로 침체에 빠져 있는 일본 사회의 변혁을 위한 동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4차 산업혁명 대응의 범위를 초기의 경제와 산업 중심에서 사회 전체로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