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산업구조의 서비스화에 가속페달"
한은이 2020년 기준 산업연관표 분석결과 공산품 비중은 떨어져
코로나19 감염병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가속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의료·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공산품 비중이 축소되면서 산업구조 변동이 빨라졌다.
한국은행이 29일 내놓은 '2020년 기준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산출액 기준 서비스 비중은 49.3%로 직전 조사인 2015년(44.9%)보다 4.4%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공산품 비중은 44.5%에서 40.2%로 4.3%포인트 낮아졌다.
부가가치 기준으로도 서비스 비중이 59.9%에서 63.8%로 3.9%포인트 늘어난 반면 공산품 비중은 29.5%에서 26.0%로 3.5%포인트 줄었다. 한은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의료 및 비대면 관련 서비스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며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외거래 비중은 축소되고 수입의존도도 줄었다. 한국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총공급(총수요)은 2020년 5221조2000억원으로 2015년(4457조6000억원)보다 17.1% 증가했다.
이 중 수출(717조6000억원)과 수입(663조9000억원)을 합친 대외거래는 1381조5000억원으로 총공급의 26.5%를 차지했다. 이는 2015년(30.1%) 대비 3.6%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세계 경제가 위축되고 상품 교역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아울러 최종 수요에서는 소비(46.6→49.4%)와 투자(21.6→24.0%) 비중이 나란히 확대된 반면 수출(31.7→26.6%)은 큰 폭으로 축소됐다. 소비의 경우 민간소비(35.6→36.4%)와 정부소비(11.1→13.0%)의 역할이 함께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