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서 9조원 보조금 받아…TSMC와 '동등대우'
텍사스 반도체 공장 2026년 가동…4나노·2나노 칩 생산
미국 정부가 미국에 반도체 생산 공장을 짓는 삼성전자에 보조금 64억달러(약 8조9000억원)를 지원한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에 지원하는 반도체 보조금은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85억달러·11조8000억원)과 대만 기업인 TSMC(66억달러·9조1000억원)에 이어 3번째로 큰 규모다.
미국 상무부는 15일(현지 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상무부와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공급망의 복원력을 강화하고 미국의 기술 리더십을 발전시키며 미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반도체법에 따라 최대 64억달러의 직접 자금을 지원하는 예비거래각서(PMT)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기업에 대한 미국 정부의 지원은 첨단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제·안보 전략의 일환이다.
미 상무부는 "삼성전자가 향후 미국에 400억달러(55조원)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 같은 투자 제안은 2만 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2022년부터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23조5000억원)를 투자해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의 규모와 투자 대상을 확대해 2030년까지 총 4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첫 번째 텍사스 테일러 공장은 2026년부터 4나노미터 및 2나노미터 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후 두 번째 공장도 가동에 들어가 첨단 반도체를 양산하고 R&D 시설도 운영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과 연구개발을 위한 핵심 시설은 국내에 두더라도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의 큰손인 엔비디아 등 미국 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는 상황에 맞춰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충하고 현지 고급 인력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의 차세대 HBM(고대역폭 메모리)인 HBM3E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5일 성명을 통해 "오늘 삼성의 미국 내 투자 발표는 나의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Invest in America·미국에 투자)' 의제와 한미 동맹이 미국 모든 구석에 기회를 어떻게 창출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또 다른 본보기"라고 밝혔다.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도 14일 사전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의제에 따라 또 한 번의 역사적 투자를 기념하게 됐다"며 "이로써 세계 최첨단 반도체가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