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사비 분양단지에 직격탄
3기 신도시 첫 사전청약 단지 총 사업비 30% 올라 오는 9월에 본청약 때는 '확정 분양가' 높아질 전망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가장 먼저 사전청약을 받은 인천 계양지구 공공분양 아파트의 총사업비가 2년여 만에 약 30% 늘어났다. 건설자재 등 공사비 인상 여파가 공공분양주택까지 덮친 것으로 오는 9월 본청약 때 확정될 최종 분양가도 사전청약 때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인천계양 테크노밸리 A2 블록 공공주택 건설사업의 총사업비가 최근 3364억원으로 변경 승인됐다. 이는 2022년 1월 사업계획승인 때보다 688억원(25.7%) 상승했다.
A2 블록과 함께 사업계획이 승인된 바로 옆 A3 블록의 총사업비도 1754억원에서 2355억원으로 580억원(33.1%) 급증했다. 입주 예정일도 사업계획 승인 당시 2026년 6월에서 12월로 여섯 달 늦어졌다.
인천계양 A2와 A3 블록은 3기 신도시 중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이다. 가장 먼저 사전청약을 받은 뒤 지난 3월말 착공에 들어갔다.
A2 블록에는 공공분양주택 747가구가, 신혼희망타운인 A3 블록에는 공공분양주택(359가구)과 행복주택(179가구) 등 548가구가 들어선다. 집값이 급등한 2021년 8월 진행된 3기 신도시 첫 사전청약 때 인천계양은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A2 블록 84㎡는 28가구 모집에 1만670명이 몰리며 38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블록 74㎡ 경쟁률도 76대 1이었다.
추정 분양가는 A2 블록 59㎡가 3억5600만원, 74㎡는 4억3700만원, 84㎡가 4억9400만원이었다. 하지만 증액된 사업비를 고려하면 올해 9월 본청약 때 확정될 최종 분양가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국토부는 "총사업비 인상분의 대부분은 건설자재 가격이 오름에 따른 것"이라며 "일부는 분양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분양가를 인상하고도 발생하는 사업비 증액에 따른 손실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떠안는 구조다. 업계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분양주택은 최종 분양가가 오르더라도 민간 분양 아파트보다 상승 폭이 작아 주변 시세보다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