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AI체감 할수 있게 7천억 투자

소아 희귀질환을 진단·치료 등 소프트웨어와 AI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 신약 개발과 항체 설계에 AI 활용하는 바이오산업 등 AI를 통해 효율을 높게

2024-04-04     이코노텔링 고현경 기자

정부는 국민이 인공지능(AI)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올해 7000억원 이상을 들여 'AI 일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민·관 AI 최고위 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발족하는 회의를 열고 올해 69개 AI 일상화 과제에 총 7102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 사업으로 18개 과제(755억원)를, '근로자 등 일터 현장의 AI 융합·접목' 사업으로 24개 과제(2881억원)를, '공공행정 AI 내재화' 사업으로 14개 과제(1157억원)를, '국민의 AI 역량 제고와 AI 윤리 확보' 사업으로 13개 과제(2309억원)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AI 서비스 경험률을 지난해 51%에서 올해 60%로, 기업들의 AI 도입률을 28%에서 40%로, 공공 부문 AI 도입률을 55%에서 80%로 각각 높이기로 했다.

구체적 사업을 보면 먼저 9종의 소아 희귀질환을 진단·치료·관리하기 위한 AI 소프트웨어와 12개 중증질환의 진단 보조 AI 의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자폐 스펙트럼 조기 예측과 관리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의료기기 개발도 지원한다.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과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건강관리 서비스, 복지 사각지대 가구 지원 등 사업에도 AI를 활용한다. 아울러 가능한 모든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하기 위해 법률, 의료, 심리 상담을 위한 분야별 초거대 AI 서비스를 각각 개발하기로 했다.

신약 개발과 항체 설계에 AI를 활용하는 바이오산업은 물론 제조·물류·철강·농업에서도 AI를 통해 효율을 높이고 신규 서비스를 만들어낸다. 공공 분야에서는 AI 기술로 화재나 홍수 등 재난과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인다.

이날 회의에서 과기정통부는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한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을 보고했다.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AI 기술혁신, 전(全) 산업의 AI 대전환, 국민 일상에 대한 선도적 AI 도입, 디지털 권리장전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신질서 정립등이 핵심 내용이다.

이날 출범한 AI전략최고위협의회는 공동위원장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 AI 각 분야를 대표하는 민간 전문가 23명, 주요 정부 부처 실장급 7명 등 모두 32명으로 구성됐다. 민간 위원으로는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아모레퍼시픽 등 기업 대표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