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美인디애나에 차세대 HBM 생산기지
5.2조원 투자해 2028년 하반기 양산…퍼듀대 등 현지대학과 반도체 연구·개발협력
SK하이닉스가 5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인디애나주에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인 HBM의 생산공장을 해외에 짓는 것은 처음으로 2028년 하반기 양산이 목표다.
SK하이닉스는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고, 퍼듀대학교 등 현지 대학 및 연구기관과 반도체 연구·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3일(현지시간) 웨스트라피엣 소재 퍼듀대에서 인디애나주와 퍼듀대, 미국 정부 관계자들과 투자 협약식을 열고 이런 계획을 발표했다. SK하이닉스는 이 사업에 38억7000만달러(약 5조2000억원)를 투자한다. 2028년 하반기부터 차세대 HBM 등 AI 메모리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 생산기지를 통해 글로벌 AI 반도체 공급망을 활성화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며 "미국 현지에서 1000개 이상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HBM 4세대인 HBM3를 AI 칩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에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다. 5세대인 HBM3E도 3월 말부터 고객사 공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AI 시장 확대로 HBM 등 초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급증하고 어드밴스드 패키징의 중요성이 커지자 SK하이닉스는 미국에 첨단 후공정 분야 투자를 결정하고 부지를 물색해왔다. 인디애나 주정부가 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데다 지역 내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제조 인프라가 풍부하고, 첨단공학 연구로 유명한 퍼듀대가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SK하이닉스는 전했다.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에 반도체 생산 보조금 신청서를 제출했다. 조 바이든 정부는 2022년 반도체지원법을 제정, 자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생산 보조금 390억달러, 연구개발(R&D) 지원금 132억달러 등 5년간 총 527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에릭 홀콤 인디애나 주지사는 "SK하이닉스와의 새로운 파트너십이 장기적으로 인디애나주와 퍼듀대를 비롯한 지역사회를 발전시킬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이번 투자를 통해 갈수록 고도화되는 고객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해 맞춤형(Customized) 메모리 제품을 공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