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혁신성장에 방점…'소주성'은 유지"
김수현 "경ㅈ상황에 맞게 대응…경제정책 골격 변화한게 전혀 없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보여준 혁신성장 행보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나 이는 경제활력 제고가 절실한 시점임을 고려한 것일 뿐이라고 20일 밝혔다. 이른바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의 '3축' 중 나머지 두 개인 소득주도성장이나 공정경제 정책을 손질하겠다는 뜻은 아니라고 청와대는 선을 그은 것이다.
경제상황에 따라 3축 가운데 한 정책에 무게가 더 쏠리는 것처럼 느껴질 수는 있지만, '공정경제 기반 위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이라는 3축의 균형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원칙에는 변함없다는 것이 청와대측의 입장이다.
청와대의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김수현 정책실장은 이날 춘추관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문 대통령의 경제 행보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다. 김 실장은 "최근 왜 소득주도성장 얘기를 하지 않고 '혁신적 포용국가' 를 얘기하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경제정책에 전환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도 듣는다" 며 "그러나 저는 전환이 전혀 없다고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특히 "소득주도성장, 공정경제, 혁신성장이라는 큰 틀 가운데 문 대통령의 마음속이나 머릿속에서 지워진 꼭지는 없다고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에서는 속도 조절을 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을 반박한 셈이다.
김 실장은 "최저임금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름대로 보완대책을 위해 노력했다. 속단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연착륙 되는 것으로 보인다" 며 정부의 정책대응을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이어 "다만 앞으로 최저임금을 어떻게 할지 결정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편한다고 이미 발표를 했다. 이 방안이 국회에서 논의가 되면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겠나" 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