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47% "유연근무제 사용 희망"
"지금은 사정때문에 못 써"…노동연구원 손연정 연구원"돌봄서비스 제공이 전제돼야"
심각한 저출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생활의 균형을 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고용노동부는 18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일·생활 균형 정책 세미나'를 열고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해법을 모색했다.
발제자인 손연정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장시간 근로, 경직적 근로 관행을 벗어나 일과 자녀 양육을 병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유연근무제는 일·생활 균형, 노동자의 웰빙, 성평등, 출산율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차출퇴근제와 탄력근무제, 선택적 근무시간제 등 유연근무제는 많은 근로자가 원하는데도 활용률이 높지 않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자료에 따르면 유연근무제 활용률은 2016년 4.2%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2021년 16.8%까지 높아졌다가 지난해 15.6%로 낮아졌다.
지난해 기준 전체 임금 근로자의 47%가 '현재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지 못하지만, 사용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손연정 연구위원은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밝혔다. 이 비율은 2018년 38%에서 매해 높아지고 있다.
손 연구위원은 "유연근무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업무 과정에 대한 통제보다는 업무 결과를 강조하는 직장문화 구축이 필수적이며, 조직 내 신뢰 구축이 전제돼야 도입과 유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전반적인 근로시간 단축과 양질의 촘촘한 돌봄서비스 제공이 전제돼야 하며, 노동자 스스로가 노동시간과 강도를 늘리는 '유연성의 역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유연근무제가 근무 방식의 표준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날 세미나에선 2012년 대기업 최초로 자동육아휴직제를 도입한 롯데그룹, 전 직원 시차출퇴근제를 도입한 웹툰업체 재담미디어 등 출산·육아 제도와 유연근무제 우수 기업 9개사가 성과와 노하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