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니라 경제성장률 2%"
한경연 전망…내수는 기준금리 인하 시작되는 하반기 이후에 반등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전 수준에 근접한 2.0%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15일 발간한 '경제동향과 전망: 2024년 1분기' 보고서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이 세계경제 개선에 따른 수출 호조로 회복세를 타겠지만, 내수는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하반기 이후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연은 "장기간 고금리·고물가의 여파로 더욱 심화된 경제여건의 부실화와 정책적 지원 여력 약화의 영향으로 기대치에 부합하는 신속한 경기회복은 기대하기 힘들다"며 "원리금 상환부담 누적에 따른 민간부채 리스크에 대한 원활한 대처 여부가 내년 성장 흐름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경연은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 2.0%의 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부문별로 보면 내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는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에 따른 소비 여력 감소로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설비투자는 정보기술(IT) 경기 회복과 금리인하 가능성으로 하반기 이후 회복 흐름이 확대돼 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투자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건설 수주 감소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여파로 1.5% 역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달러화 가치 상승 폭이 줄고,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안정을 찾으면서 2.5%로 전망됐다.
한경연은 IT 업황 침체와 중국의 부진,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지난해 부진했던 수출이 올해는 주요국의 경기 회복과 IT 시장의 수요 확대로 3.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확대되며 510억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