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취업자 두 달 연속 증가
1월 취업자수 30만명대 증가폭 회복 …청년층과 40대 일자리는 지속 감소
1월 취업자 수가 3개월 만에 30만명대 증가 폭을 회복했다. 청년층과 40대의 일자리는 위축됐지만, 제조업 취업자는 두 달 연속 증가했다.
통계청이 16일 내놓은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 이상 취업자는 2774만3000명으로 지난해 1월보다 38만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10월 34만6000명에서 11월(27만7000명)·12월(28만5000명) 줄었다가 석 달 만에 30만명대로 회복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일자리 증가세를 주도하고 청년층 고용은 위축되는 추세가 이어졌다. 60세 이상에서 35만명 늘어 취업자 수 증가세를 이끌었다. 30대와 50대에서도 각각 8만5000천명, 7만1000명 늘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8만5000명 줄었다. 2022년 11월(-5000명)부터 15개월 연속 감소세다. 경제의 허리인 40대도 취업자도 4만2000명 줄어 19개월째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돌봄 수요가 늘면서 관련 산업 강세가 이어졌다. 1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10만4000명 늘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7만3000명), 건설업(7만3000명) 등에서도 증가했다. 건설경기는 나쁘지만 예년보다 따뜻한 날씨가 영향을 미쳤다.
제조업 취업자도 2만명 늘어 지난해 12월(1만명)에 이어 두 달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지난해 1∼11월 지속적으로 감소했던 시기와 비교하는 기저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제조업의 경우 자동차, 의료 분야 취업자는 증가하는 반면 전자·화학은 감소하는 등 업종별로 명암이 여전하지만, 그 경향은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에서는 취업자가 4만5000명 줄었다. 부동산업과 교육서비스업에서도 각각 2만8000명, 1만3000명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은 8000명 줄어 2022년 4월(-2만7000명) 이후 처음 감소 전환했다.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데다 지난해 1월 21만4천명 증가한 것과 비교하는 기저효과 영향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