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우리나라 올 성장률 전망 상향
2.2%서 2.3%로 올려…美中은 더 올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세계경기 회복세를 반영해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30일 발표한 '1월 세계경제 전망(WEO)'에서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3%로 수정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에 내놓았던 전망치(2.2%)보다 0.1%포인트 높은 것이다. 정부(2.2%)와 한국은행(2.1%) 전망치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와는 같다.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은 미국과 신흥개도국의 견조한 성장세를 반영해 2.9%에서 3.1%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미국의 성장률 전망은 1.5%에서 2.1%로, 중국 성장률 전망은 4.2%에서 4.6%로 각각 큰 폭으로 높였다.
반면 프랑스(1.3%→1.0%), 독일(0.9%→0.5%), 스페인(1.7%→1.5%) 등 유럽 국가들은 지난해 경기 침체에서 소폭 회복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도 엔화 약세와 보복소비 등이 정상화하면서 성장세가 둔화(1.0→0.9%)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세계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세와 물가하락에 힘입어 경착륙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조급한 통화정책 완화와 지나친 긴축기조 유지 모두를 경계하며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2.3%로, 세계경제 성장률도 3.2%를 유지했다.
IMF는 해마다 4차례 세계경제 전망을 내놓는다.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대상으로 수정 전망을, 4월과 10월에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