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값 올리면 식당선 세배가량 더 올려
지난해 '맥주물가' 1998년 이후 최고치…마트 2.4% 인상하자 식당은 6.9% 더 받아
지난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 판매하는 맥주 가격 상승률이 대형마트·편의점 판매가격 오름폭의 약 3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하게 오른 소주의 경우 공장 출고가격 인하로 올해 대형마트와 편의점 판매가격이 최대 10% 낮아졌는데 식당 판매가격은 어떨지 주목된다.
통계청 물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6으로 전년 대비 6.9%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9.7%) 이후 25년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대형마트·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가공식품 맥주 물가 상승률(2.4%)과 비교하면 2.9배다.
일반 가공식품 맥주 물가가 2.4% 오르는 사이 외식용 맥주는 약 3배인 6.9% 올랐다. 소주 상황도 비슷했다. 지난해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은 7.3%로 일반 가공식품 소주 물가 상승률(2.6%)의 2.8배였다.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은 2016년(11.7%) 이후 7년 만의 최고치였다. 지난해 주류업체들의 맥주, 소주 가격 인상을 계기로 상당수 식당의 맥주와 소주 가격이 4000원에서 5000원으로 올랐다. 6000원까지 받는 곳도 있다.
그런데 올해는 국산 증류주에 붙는 세금이 줄어 소주 출고가격이 약 10% 싸지면서 대형마트·편의점 등에서 소주 구매 부담이 줄게 됐다.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12월 참이슬·진로 출고가격을 10.6% 내렸다. 롯데칠성음료도 처음처럼·새로 출고가격을 각각 4.5%, 2.7% 인하했다.
이에 따라 연초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소주 가격은 최대 10% 내렸다. 이마트가 360㎖ 용량의 참이슬 후레쉬·오리지널 가격을 1480원에서 1330원으로 10% 낮췄다. 롯데마트, 홈플러스도 가격을 인하했다.
주류업체가 출고가격을 내리면 외식업체 납품가격도 그만큼 낮아진다. 하지만 주류업체 출고가격 인하가 외식 현장에 바로 반영되긴 어려울 전망이다. 전반적인 고물가 상황에서 음식 가격을 큰 폭으로 올리지 않는 대신 주류 가격을 인상해 수지를 맞추는 음식점 등 외식업체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