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 경제 2.1% 성장"
한국금융연구원 세미나서 전망 … 내년 소비자물가 2.4% 상승 점쳐
한국금융연구원은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설비투자 반등에 힘입어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연구원은 6일 열린 '2023년 금융 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에서 경제성장률이 올해 1.3%에서 내년 2.1%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박춘성 거시경제연구실장은 "그동안 부진했던 세계 교역이 회복되는 데 힘입어 수출과 관련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성장하겠지만, 세계 수요 회복 등 성장 핵심 동력에 대한 불확실성과 고금리로 인한 하방 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2.1%에서 내년 2.0%로 둔화할 전망이다. 코로나19 방역 조치 해제로 인한 보복소비 효과가 감소하고,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가계의 실질 소비여력이 제약되면서 소비 증가세가 내년 상반기까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최근 수주, 허가, 착공 등 주요 선행지표가 악화함에 따라 올해 2.5%에서 내년 –1.6%로 감소세로 전환할 전망이다.
이와 달리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올해 -1.4% 역성장에서 내년 3.4% 성장으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정보기술(IT) 기기의 수요가 회복되고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투자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총수출 증가율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반적인 세계 교역 개선에 따라 올해 1.3%에서 내년 2.6%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총수입은 증가율이 올해 2.5%에서 내년 2.4%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높아지며 재화 수입은 늘겠지만 올해와 비교하는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도 경상수지 흑자 폭은 올해 281억달러에서 내년 373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6%에서 내년 2.4%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 전망치인 1311원보다 낮은 1297원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