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사우디 스마트 시티 구축사업 수주
필수 인프라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 1억 달러 규모…5개 도시에 적용
네이버가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도시의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한 필수 인프라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따냈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도시·건물 등 실제와 동일한 3차원 가상 데이터 모델을 만드는 서비스로 도시계획·모니터링·재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한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주택부와 약 1억 달러(약 1350억원) 이상 규모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로써 네이버는 향후 65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를 선점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에 올라섰다.
네이버의 첫 대규모 중동 사업인 이번 프로젝트는 내년부터 5년간 수도 리야드를 비롯해 메디나, 제다, 담맘, 메카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3차원(3D)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운영한다.
네이버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을 한국 정보기술(IT) 기업이 도맡은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며 "인공지능(AI), 로봇,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망라해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도시 계획,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공공 디지털 서비스를 한국 IT 기업이 첫 단계부터 구축하고 서비스까지 직접 운영하는 것이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구축할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 개방형으로, 현지 기관·기업, 국내의 기관·스타트업과 협업해 생태계를 키워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터를 통한 스마트시티 설계, 도시 물관리, 실감형 부동산,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도로 단위 교통정보, AI 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한국국토정보공사(LX), 한국수자원공사도 이번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에 힘을 보탰다. 네이버는 앞으로 협업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네이버는 지난 3월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와 국가 디지털 전환(DX)을 위한 MOU를 체결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교류를 이어왔다. 네이버 채선주 대외·ESG(환경·사회·지배구조)정책 대표는 "탄탄한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2의 중동 수출 붐을 이끌겠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네이버가 IT 스타트업의 중동 수출의 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