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줄었지만 임금격차는 더 벌어져
정규직 362만3천원에 비정규정직 195만7천원으로 약 167만원 차이나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3년 만에 감소했지만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약 167만원으로 더 벌어지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4일 내놓은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12만2000명으로 지난해 8월 대비 3만4000명 감소했다. 비정규직이 감소한 것은 2019년 748만1000명에서 2020년 742만6000명으로 줄어든 이후 3년 만이다.
비정규직은 2021년 806만6000명, 지난해 815만6000명으로 2년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었다.
임금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7.0%로 0.5%포인트 낮아졌다. 비정규직을 근로 형태별)로 보면 한시적 근로자와 비전형 근로자는 각각 8만9000명, 17만4000명 줄어든 반면 시간제 근로자는 18만6000명 늘었다.
통계청은 "비전형 근로자 중 일일 근로의 건설업 분야에서 7월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근로자 수가 많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시간제 근로자는 돌봄 수요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확대로 증가한 근로자의 90% 이상이 여성이라고 기획재정부가 분석했다. 비정규직은 성별로 남성이 9만6000명 감소했고, 여성은 6만2천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이 6만6000명 증가했고 50대와 40대는 각각 9만8000명, 1만3000명 감소했다. 특히 60세 이상은 261만9000명으로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의 32.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비정규직은 통계 작성 이래 매년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비정규직은 60대에 이어 50대 20.0%(162만7000명), 29세 이하 19.4%(157만7000명), 40대 16.1%(131만1000명), 30대 12.2%(98만9000명) 순서였다.
비정규직이 일하는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0만5000명), 전문과학기술업(+3만명), 숙박·음식점업(+1만9000명)에서 늘고 건설업(-9만7000명), 도매·소매업(-4만2000명)에서 줄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66만6000원으로 2017년 이후 6년째 벌어지며 역대 최대 격차를 기록했다. 올해 6∼8월 월평균 임금이 정규직 근로자는 362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만3000원(4.1%) 올랐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95만7000원으로 7만6000원(4.0%) 늘었다.
통계청은 "비정규직 근로자 내에서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며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커지면서 전체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작아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