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삼성 반도체의 성지' 기흥 캠퍼스 찾아
취임 1주년 앞두고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건설현장 방문 반도체사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혁신의 전기 ' 마련을 강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 1주년(27일)을 앞둔 19일 삼성 반도체 사업이 태동한 기흥 캠퍼스를 찾아 반도체사업 재도약을 위한 혁신의 전기를 마련할 것을 당부했다. 지난해 복권 이후 첫 행보로 기흥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기공식에 참석한 데 이어 이번에 다시 찾은 것은 위기의 반도체산업을 챙기고 '반도체 초격차' 의지를 다지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은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건설현장을 둘러보고 반도체 전략을 점검했다. 이 회장은 "대내외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다시 한 번 반도체사업이 도약할 수 있는 혁신의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며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기술 리더십과 선행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서 경영진 간담회를 열어 차세대 반도체 기술개발 현황을 보고받고 메모리·파운드리·팹리스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전 분야에 대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첨단 공정 개발 현황과 기술력 확보 방안, 공급망 대책 등 현안을 심도 있게 살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계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사장)과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송재혁 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등 DS부문 경영진이 참석했다. 해외 출장 중인 경영진은 화상회의로 참석했다.
1983년 삼성 반도체가 첫 걸음을 뗀 기흥캠퍼스는 1992년 세계 최초 64M D램 개발, 1992년 D램 시장 1위 달성, 1993년 메모리반도체 분야 1위 달성 등을 이뤄낸 '삼성 반도체 성공신화'의 산실이다.
여기에 오는 2030년까지 20조원을 투입해 짓는 기흥 차세대 반도체 R&D단지는 미래 반도체 기술을 선도하는 핵심 연구기지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와 생산, 유통이 한 곳에서 이뤄지는 복합형 연구단지로 첨단 기술 개발의 결과가 양산 제품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는 고도의 인프라를 갖춘다.
이 회장은 지난해 8월 기공식 때 "과감한 R&D 투자가 없었다면 오늘의 삼성 반도체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고 당부했다.
이 회장은 이날 반도체 전략을 점검한 뒤 삼성전자 인재개발원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 3주기 추모 음악회에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