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주담대도 '금리 환승'
연말부터 앱으로 갈아 탈 수 있어…심사에 2~7일 걸려
이르면 연말부터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과 모든 주택의 전세대출을 온라인 플랫폼(앱)을 통해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 대상 범위를 주택담보대출로 확대한다고 25일 밝혔다. 대환대출 인프라 확대 대상은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신규 구입 자금·생활안정자금 모두 포함)와 서민·무주택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전세대출이다.
현재는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대출을 갈아타려면 여러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해 대면 상담을 해야 한다. 온라인 대환대출 시스템이 가동되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여러 금융회사 대출 조건을 비교하고 갈아탈 수 있게 된다.
6월말 기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잔액은 970조원(주택담보대출 770조원, 전세대출 200조원) 수준이다. 이 중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500조~550조원으로 추산된다.
오피스텔과 다세대주택, 단독주택의 경우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기 어려워 대환대출 대상에서 제외됐다. 아파트는 KB부동산시세 등을 통해 최신 시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세대출에 대환대출 경쟁이 도입되는 것은 처음이다.
금융소비자들은 대출 비교 플랫폼 앱을 통해 가장 유리한 조건의 대출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기존 대출 잔액과 금리 수준뿐만 아니라 중도상환수수료, 금리 변동 주기 등의 정보까지 제공받기 때문에 연간 절약되는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앱을 킨 뒤 약 15분 만에 대환대출을 마칠 수 있던 신용대출과는 달리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이동은 원스톱 시스템은 아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나 임대차 계약 등 검증해야 할 정보가 많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필요한 서류들을 앱(선택 시 영업점을 통해서도 가능)을 통해 제출한 뒤 심사에 2~7일 걸린다. 심사가 끝나면 소비자가 대출 조건을 확정한다. 나머지 대출 실행과 근저당권 설정·말소 등도 온라인을 통해 중계하는 구조다.
금융위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 대출 규모가 신용대출보다 크기 때문에 소비자가 체감하는 이자절감 효과도 클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가동을 시작한 신용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9월 15일 기준 총 6만7384건의 대출 자산이 이동했다. 대환대출 규모는 1조5849억원 수준으로 총이자 절감액은 약 300억원, 평균 이자 절감 폭은 약 1.5%포인트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