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됨에 따라 한층 경계"
비상거시경제 금융회의서 "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높아져 "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했으나 파월은 추가 인상 가능성 비쳐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것과 관련해 "정부와 한국은행은 각별한 경계심을 갖고 빈틈없는 공조 하에 긴밀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에서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한층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미국 연준 제롬 파월 의장은 2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유지하기로 결정한 뒤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해 정책 목표 수준으로 안정화됐다고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시장은 이를 통화긴축이 지속될 것으로 해석해 주가는 하락하고 금리와 달러인덱스는 상승했다.
추 부총리는 "파월 의장은 '향후 추가 정책 강화 정도는 경제·금융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겠다'면서도 연내 추가 인상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며 "연준 위원들의 내년도 금리인하 폭 전망도 1.0%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축소됐다"며 내년에도 미국 금리가 5%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고금리 장기화와 국제유가 상승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한층 더 높은 경계감을 갖고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필요시에는 상황별 대응 계획에 따라 적기 대응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4분기 고금리 예금의 만기 도래에 따른 과도한 자금 확보 경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일일 유동성을 점검하면서 은행의 유동성 규제를 유연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필요한 경우에는 30조원 이상 여력이 남아 있는 회사채·기업어금(CP) 매입 프로그램 등 유동성 공급 조치를 활용해 시장을 안정시키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