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절반은 "자녀 필수 아냐"
3명 중 1명만 '결혼에 긍정적'…비혼 이유 1위는 '결혼자금 부족'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이 세 명 중 한 명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청년의 절반 이상은 결혼해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통계청은 28일 내놓은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은 36.4%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 2012년(56.5%)보다 20.1%포인트 감소했다. 전체 인구 중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인구 비율(50.0%)보다도 13.6%포인트 낮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성이 28.0%로 남성 43.8%보다 15.8%포인트 낮았다.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남녀 비중도 10년 전보다 각각 18.9%포인트, 22.3%포인트 낮아졌다.
연령대별로는 19∼24세가 34.0%으로 가장 낮고, 이어 25∼29세 36.1%, 30∼34세 39.2% 등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높아졌다. 결혼 적령기로 인식되는 30대 초반에도 결혼에 긍정적인 응답이 절반에 못 미쳤다.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을 꼽은 이들의 비중은 남성(40.9%)이 여성(26.4%)보다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80.9%로 10년 전보다 19.1%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청년의 절반 이상은 결혼해도 자녀를 갖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2021년 53.5%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의 비중은 10년 전보다 9.8%포인트 상승해 지난해 39.6%를 기록했다.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청년의 83.3%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10년 전보다 긍정 비율이 9.5%포인트 높아졌다.
가족이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6%로 10년 전보다 12.6%포인트 줄었다. 60.7%는 가족·사회·정부가 함께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고, 15.0%는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시하는 요인은 수입(35.8%),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 환경(9.8%) 순서였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2011년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서였던 것이 2021년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으로 바뀌었다. 공기업의 인기가 공무원보다 높아진 점이 눈에 띈다.
청년들은 남녀 모두 육아 부담(46.3%)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인식했다. 그 다음으로 사회적 편견(18.5%), 불평등한 근로여건(13.8%) 순서였다. 여성이 출산·자녀 성장과 상관없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청년의 비중은 74.0%로 10년 전(53.2%)보다 20.8%포인트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