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리 수익성 개선…영업손실 35% 줄여
올 상반기 판매관리비를 지난해보다 252억원 줄이는 등 '감량경영'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가 상반기 소비심리 악화 등 어려운 여건에도 적자를 줄이며 수익성을 개선했다. 컬리는 2분기 영업손실이 472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691억원) 대비 31.6% 감소했다고 25일 공시했다. 2분기 매출은 507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 줄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매출이 1조175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0% 줄었고, 영업손실은 1206억원에서 778억원으로 35.5% 개선됐다.
컬리는 "고금리 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속에서도 매출을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여 적자 폭을 줄였다"고 밝혔다. 컬리는 올해 1분기에도 영업손실을 지난해 1분기 대비 41% 줄였다.
컬리는 올 상반기 판매관리비를 지난해보다 252억원 줄이는 등 마케팅 비용와 고정비용 지출을 최소화했다. 판매 단가가 높아진 점도 실적 개선에 보탬이 되었다. 상반기 컬리 직매입 상품의 평균 판매가격(ASP)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31% 상승했다.
여기에는 지난해 11월 공식 론칭한 뷰티 전문 몰 '뷰티컬리'가 큰 역할을 했다. 뷰티컬리의 평균 판매가격은 마켓컬리보다 3배 정도 높다. 그 영향으로 고객의 1회 평균 구매가격도 상반기에 처음으로 6만원을 넘어섰다. 뷰티컬리는 9개월간 누적 구매자 수 300만명, 주문 건수 400만건을 돌파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다. 컬리페이도 출시 4개월 만에 가입자 15만명을 돌파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컬리는 "경기 평택과 경남 창원(동남권) 물류센터를 새로 개설하는 등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가운데 영업손실을 크게 줄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컬리는 하반기에도 수익성 중심 경영 기조를 이어갈 방침이다. 뷰티컬리의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한편 평택·창원 물류센터를 통한 물류비용 절감에 주력하기로 했다.
컬리는 특히 창원 물류센터를 기반으로 부산, 울산, 대구, 김해, 창원, 양산 등 동남권 지역으로 '샛별배송' 범위를 넓혀 신규 고객을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샛별배송은 고객이 밤 11까지 주문하면 다음 날 오전 7시 안에 상품을 배송해주는 컬리의 특화 배송 서비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