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소기업 비중 99.9%
771만개…종사자는 1849만명으로 80%늘어 중기부, 2021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 내놔
국내 중소기업이 771만개로 전체 기업의 99.9%에 이르고, 종사자는 1849만명으로 전체 기업 종사자의 8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4일 내놓은 '2021년 기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기본통계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국내 중소기업 수는 771만4000개로 전년 말보다 5.9% 늘었다. 중소기업 종사자 수는 1849만3000명으로 3.9% 증가했다. 중소기업 수는 전체 기업의 99.9%, 종사자는 80.9%를 각각 차지한다.
중소기업의 2021년 매출액은 3017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했다. 매출액은 전체 기업 매출액의 46.9%다. 중소기업 중 소상공인은 733만5000개로 5.9% 증가했고, 종사자와 매출액은 각각 4.4%, 11.9% 늘었다.
업종별 중소기업 수를 보면 도소매업이 193만5000개로 전체의 25.1%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부동산업(127만2000개·16.5%), 숙박·음식점업(87만개·11.3%)의 순서였다.
종사자 수로는 도소매업(362만4000명·19.6%)에 이어 제조업(338만2000명·18.3%), 건설업(188만4000명·10.2%)의 순서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수는 광업(-2.3%)을 제외한 도소매업(8.4%), 건설업(7.3%) 등 나머지 업종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을 크게 받았던 숙박·음식점업은 전년 대비 3.5% 늘었다.
업종별 매출액도 모든 업종에서 증가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여가업, 교육서비스업 매출은 코로나19 사태로 매출이 감소했던 2020년 대비 각각 8.5%, 18.0%, 25.9%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수도권에 401만8000개, 비수도권에는 369만6000개가 있다. 조직 형태별로는 개인기업이 675만9000개, 법인기업이 95만5000개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1인 기업이 579만5000개로 7.8% 늘어난 반면 종사자 2인 이상 기업은 191만9000개로 0.4% 증가에 그쳤다. 코로나 사태 및 최저임금 상승 등의 요인이 고용원이 있는 소상공인에게 고용 축소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