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취업자 뚝 떨어져
21만명으로 '29개월만의 최소'…장마에 일용직 급감
7월 취업자 증가 폭이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일용직 일자리가 줄면서 크게 둔화했다. 경기 영향을 받는 제조업·건설업 취업자도 줄면서 남성 취업자 수가 29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통계청이 9일 내놓은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868만6000명으로 지난해 7월 대비 21만1000명 늘었다. 올해 들어 30만∼40만명대를 유지했던 취업자 증가 폭이 20만명 대로 둔화했다.
취업자 증가 폭은 4개월 연속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47만3000명 감소한 2021년 2월 이후 29개월 만의 최소 증가 폭이다. 통계청은 "집중호우 여파로 건설·농림 분야에서 일용직 감소세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상용 근로자가 51만3000명 증가한 반면 일용 근로자는 18만8000명, 임시 근로자는 14만4000명 각각 감소했다. 일용직 근로자는 23만2000명 감소한 2021년 1월 이후 최대 폭으로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29만8000명 늘었다. 하지만 60세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취업자 수가 8만7000명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에서 13만8000명, 40대에서 6만1000명 각각 감소했다. 청년층은 9개월째, 40대는 13개월째 줄었다.
산업별로는 반도체 수출 감소 및 건설경기 부진 등의 여파로 제조업(-3만5000명)과 건설업(-4만3000명)에서 각각 7개월,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농림어업 취업자도 4만2000명 줄었다. 이와 달리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4만5000명), 숙박·음식점업(12만5000명)은 늘었다.
남성 비중이 높은 건설업·제조업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남성 취업자 수는 3만5000명 줄어들면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2021년 2월 코로나19 여파로 18만6000명 줄어든 뒤로 29개월 만에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와 달리 여성 취업자 수는 경제활동참가율 확대, 보건복지업 고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24만6000명 늘면서 29개월 연속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