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ESG 트렌드 '親환경'서 '必환경'으로"

코트라 보고서"내년 기후공시 의무화 시행"

2023-08-08     이코노텔링 장재열기자

미국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트렌드가 환경 부문을 중심으로 공급망 전반에 걸쳐 강화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친(親)환경'을 넘어 '필(必)환경'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8일 내놓은 '미국 ESG 트렌드와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미국의 ESG 경향은 환경(E) 부문의 제도화가 강화하면서 그 범위가 공급망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기존의 미국 ESG 활동이 주로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면, 기후공시 의무화가 시행되는 내년부터는 미국 상장사 및 관련 기업의 ESG 참여가 의무화하게 된다. ESG 평가에 협력사 활동도 포함되면서 기업의 책임 범위가 원자재(업스트림)부터 폐기(다운스트림) 과정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체로 확대된다.

KOTRA 보고서는 "상장사뿐 아니라 상장 고객사에 납품하는 기업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진단한 뒤 "미국 기업들은 ESG 경영을 위해 '친(親)환경'을 넘어서 '필(必)환경'으로 가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RE100(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사용), 넷제로(탄소 순배출량 0), 탄소배출이 없는 탄소 네거티브 등을 위해 청정에너지를 사용하고 탄소 저감·제거 신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하반기 중 기후공시 의무화를 확정하면 내년부터 미국 상장사는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시 의무화 대상이 된다.

일부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 공급망 전반에서 탄소배출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아마존은 최근 협력업체에 2024년부터 탄소 배출량 데이터 공유와 탄소 배출 목표를 설정할 것을 요구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협력사의 탄소 배출량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포드는 2050년까지 자사 공급망 전반에서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한편 자체적인 기후 프로그램에 참여할 협력업체 3000개사를 선정했다.

사회(S) 부문에서는 강제 노동 근절 및 인권 관리 강화가 추세다. 아울러 공급망 전반에서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Diversity·Equality· Inclusion)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로 최근 강제노동과 아동 노동을 근절하기 위해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도입했다.

KOTRA 보고서는 "인종과 남녀 성별을 차별하지 않는 기업의 DE&I와 직원 안전·복지 등 인적자본 요소 관리가 기업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공급망 전반에서 리스크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배구조(G) 부문에선 사이버 안보 등 기업의 고객 개인정보 보호 노력이 이슈로 떠올랐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지난달 26일 사이버 공격 시 대응에 대한 공시 의무화를 발표했다. 기업이 심각한 사고로 판단되는 사이버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을 경우 영업일 기준 4일 이내에 이를 공개하는 한편 매해 관련 자료도 내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