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어렵더라도 SW씨앗 심어야“
구직 청년에 무료교육 하는 '광주SW아카데미'들러 교육생 격려
일본의 반도체소재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시작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현장경영이 영역을 확대하면서 미래 인재육성에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은 20일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내에 위치한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SSAFY : Samsung S/W Academy For Youth)’ 광주 교육센터를 찾아 교육 운영현황을 점검하고 교육생들을 격려했다.
이 자리에서 이재용 부회장은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은 정보기술(IT) 생태계 저변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다"라며 "어렵더라도 미래를 위해 지금 씨앗을 심어야 한다. 더 큰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 같이 도전하자"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80조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밝히면서 소프트웨어 인재 1만명을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광주를 비롯해 전국 4개 지역에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이 부회장이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직접 찾은 것은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일본의 반도체소재 수출규제와 미중 무역분쟁 등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가운데에서도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할 인재 양성을 챙기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재계의 평가다. 삼성 측은 "삼성이 직접 소프트웨어 교육에 나선 것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새로운 산업에 접목하고 응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미래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회장이 찾은 광주교육센터는 700㎡ 규모에 첨단 소프트웨어 강의실 4개를 갖춰 150명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2020년부터는 300명이 동시에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시설을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1, 2기 150명의 교육생을 선발해 교육하고 있으며, 1기 교육생 중 18명은 취업에 성공해 조기 졸업했다.
이 부회장은 소프트웨어 교육센터를 방문하기에 앞서 광주사업장 내 생활가전 생산라인을 살폈다. 그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생활가전 생산 라인과 금형센터 등을 둘러보며 "5G, 사물인테넛(IoT),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도 급변하고 있다. 미래 세대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전통 가전제품에 대한 생각의 한계를 허물어야 한다"고 당부했다.이 부회장은 7월 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반도체 생산라인이 있는 온양과 천안, 평택에 이어 이날 생활가전 공장이 위치한 광주사업장을 찾는 등 현장경영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