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달째 '경기 둔화' 진단했지만 '햇살'도
기재부, 6월 그린북에 "하방 위험은 다소 완화"분석 내수 회복세에 심리 개선…고용 증가세도 견조 판단
한국 경제의 둔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하방 위험은 다소 완화했다는 정부 진단이 나왔다. 내수와 고용에서 그전보다 나은 지표가 나타나고,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면서 경기가 회복 흐름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에서 "수출·제조업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그린북에서 처음으로 '둔화 국면'으로 판단한 이후 다섯 달째 같은 진단이다.
5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5.2% 감소했다.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출이 소폭 증가한 반면 반도체와 선박, 컴퓨터, 석유제품 등 대부분 품목의 수출은 감소했다.
수출이 줄면서 5월에 21억2000만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했다. 그래도 적자 폭은 1월 125억3000만달러를 기록한 뒤 2월 53억2000만달러, 3월 47억4000만달러, 4월 27억3000만달러 등 줄고 있다.
4월 경상수지도 7억9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다만 상품수지는 무역적자 축소로 7개월 만에 흑자(5억8000만달러) 전환했고, 서비스수지도 적자 폭이 축소됐다.
정부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제심리도 개선됐다고 진단했다. 4월 소매 판매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모두 감소해 전월보다 2.3%, 전년 동월보다 1.1% 줄었다.
다만 소비자심리지수(CSI)는 전월보다 2.9포인트 상승한 98.0로 나타났다. 1분기 민간소비(GDP 잠정치)도 작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로 조사됐다. 지난 1월 5.2%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둔화 흐름이 이어졌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든 영향이다.
5월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35만1000명 늘며 증가세가 이어졌다.
정부는 이처럼 물가상승률이 둔화하고, 고용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경제 하방 위험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