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CEO"한국의 딥테크 밴처기업에 관심"
샘 올트먼 방한…한국인 부인 둔 공동창업자도 동행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한국 스타트업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특히 딥테크(선행기술) 기업에 관심이 많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9일 중소벤처기업부 초청으로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이영 중기부 장관, 국내 스타트업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한국은 인터넷 보급률과 테크놀로지 수준이 높고, 세계에서 볼 수 없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갖춘 나라"라며 "오픈AI는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스타트업들이 훌륭하다고 알고 있다"며 "특히 딥테크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많고 대화하고 싶다. 지금이 창업의 골든시대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플랫폼 개발자들을 많이 만나고 싶고, 많은 기업을 탐방하고, 칩 개발도 함께 하면서 협력하고 싶다"며 "한국에 글로벌 기업들이 있는 것도 큰 자산이다. 이미 협력하는 방안에 대해 대화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올트먼 CEO는 오픈AI와 반도체 생산 기술 수준이 높은 한국 기업들이 오픈AI 칩을 개발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이번 여행에서 세계 지도자들과 논의하고 있다"며 "한국도 글로벌 대화를 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올트먼 CEO는 오는 2030년 변화 모습에 대한 이영 장관의 질의에 "챗GPT가 나왔을 때 사람들이 많이 놀랐고, 그 다음은 무엇일까 말했다"며 "2030년에는 암 치료라든지 굉장히 놀라운 것을 볼 것"이라고 답했다.
올트먼 CEO는 챗GPT가 그림 등 인간의 지적 영역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기술이 진화하면 오히려 콘텐츠 개발자도 이득을 얻어야 한다"며 "예를 들어 기술을 활용해 BTS 스타일로 노래를 만든다면 BTS도 이득을 얻어야 한다"고 답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올트먼 CEO와 함께 공동 창업자인 그레그 브록먼이 함께 했다. 브록먼은 혁신 기술에 대한 규제와 관련해 "기술을 규제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활용하는 것을 규제해야 한다"며 "활용은 사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활용 사례를 잘 이해하고, 그것에 중점을 둔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에선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그렇구나' 하는 정도지만, 한국은 이것으로 어떤 변화를 이뤄낼까 더 고민하는 것 같고, 에너지가 많이 느껴져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브록먼의 부인은 한국 사람이다. 그는 이날 한국어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면서 본인이 태권도 검은 띠에 중학교 때부터 한국 여름 캠프에 방문한 사실도 소개했다.
간담회에는 국내 스타트업 100여개 관계자가 참석했다. 간담회가 끝난 뒤에는 오픈AI 관계자들이 국내 스타트업과 상담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