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5곳 중 한 곳은 '좀비'

전경련 분서결과 고금리 영향으로 영업활동으로 이자도 못내

2023-05-22     이코노텔링 고현경기자

국내 상장기업 5곳 중 약 1곳은 영업 활동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한계기업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재무 상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으로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은 기업을 일컫는다.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17년 9.2%로 소폭 감소했다가 2018년 11.2%, 2019년 13.7%, 2020년 15.2%, 2021년 16.5% 등으로 계속 상승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2016년에는 9.3%로 같았다. 하지만 2022년에는 코스피 상장사가 11.5%로 소폭 상승한 반면 코스닥은 20.5%까지 높아졌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사태와 고금리라는 외부 충격에 코스닥 기업이 더 취약했던 결과"라고 분석했다.

당해연도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은 지난해 전체 상장사의 30.8%였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까지만 해도 20%대였다. 2019년 30%대에 진입한 뒤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 34.6%로 최고점을 찍었고, 2021년(30.7%) 이후에는 다시 안정을 찾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의 한계기업 비중이 3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 및 보험업(3.5%)의 순서였다.

전경련은 주요 5개국(미국·독일·일본·영국·프랑스)에 중국·한국을 더한 7개국 상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21년 기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높았다고 밝혔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한계기업 비중 상승 폭은 미국이 8.9%에서 20.9%로 12.0%포인트 올라 가장 가파른 양상을 보였다. 이어 한국이 9.3%에서 16.5%로 7.2%포인트 상승해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국·미국·일본 3개국을 비교하면 한국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이 미국(28.2%), 일본(11.4%)보다 높게 나타났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사태와 급격한 금리인상, 최근의 경기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인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