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업체 폭증…5년새 54만개로
국세청, 100대 생활업종 데이터 공개…커피점도 두배 늘고 호프집 저물어
쇼핑 행태가 비대면 온라인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최근 5년 사이 온라인쇼핑 업체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병의원 중에선 신경정신과가 주목을 받은 반면 호프집과 예식장, PC방 등의 매장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국세청이 9일 내놓은 '최근 5년간 100대 생활밀접 업종 사업자 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100대 업종 중에서 통신판매업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쿠팡, 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업을 영위하는 업체들을 아우르는 것으로 2018년 말 21만8616개였던 것이 지난해 말 54만3088개로 148.4% 증가했다.
이어 펜션·게스트하우스 115.2%(1만1135개→2만3957개), 커피음료점 80.0%(5만1696개→9만3069개), 기술·직업훈련학원 78.1%(1만2187개→2만1702개), 피부관리업 70.7%(3만2736개→5만5878개), 실내 스크린골프점 70.1%(4천538개→7천720개)의 순서로 큰 폭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병·의원 중에서는 신경정신과(29.0%), 피부·비뇨기과(17.9%), 일반외과(15.2%) 순서로 증가율이 높았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해 애완용품점(46.3%), 동물병원(12.2%)도 꾸준히 늘었다. 전문직 중에서는 주 52시간제 및 중대재해법 시행과 맞물려 공인노무사 증가율이 5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감소한 업종 중에서는 간이주점이 1만5766개에서 1만441개로 33.8% 줄어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점포 감소율로 보면 호프집 25.7%(3만4883개→2만5930개), 구내식당 22.9%(2만3342개→1만7989개), 예식장 21.1%(951개→750개), PC방 18.9%(1만462개→8485개)의 순서로 집계됐다.
여관·모텔도 2만1341개에서 1만8818개로 11.8% 감소해 펜션·게스트하우스 증가세와 대조를 이뤘다. 국세청은 "독채 펜션·풀빌라 등 안전하고 프라이빗한 숙소를 선호하는 소비성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00대 생활업종의 평균 사업존속 연수는 8년9개월로 집계됐다. 존속연수가 가장 짧은 업종은 통신판매업으로 2년7개월에 그쳤다. 이어 커피음료점 3년1개월, 스포츠시설운영업 3년6개월, 펜션·게스트하우스 및 실내 스크린골프점이 3년7개월의 순서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빠른 속도로 숫자가 늘어난 업종일수록 그만큼 생애주기가 짧았음을 보여준다. 담배가게(17년11개월), 이발소(16년), 시계·귀금속점(15년11개월), 철물점(15년10개월) 등은 존속연수가 긴 업종으로 꼽혔다.
광역 시도별로는 세종시가 62.7%로 가장 높은 생활업종 증가율을 보였다. 기초자치단체별로는 수도권 신도시 개발 수요와 맞물려 경기도 하남 104.4%, 김포 76.0%, 화성 72.2% 순서로 생활업종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