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풀린 돈 2분기 연속 감소
2008년 2분기 이후 약 15년 만에 처음…잇단 금리인상 효과로 5만원권도 줄어
시중에 풀린 현금이 15년 만에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하반기 두 차례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포함한 누적된 금리인상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74조62억원으로 전분기 말(174조8622억원) 대비 0.5%(8560억원) 감소했다. 화폐발행잔액은 지난해 4분기에 2.7%(4조8556억원) 감소한 데 이어 2개 분기 연속 줄었다.
화폐발행잔액이 2개 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4분기에서 2008년 2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한 이후 약 15년 만이다. 당시 전분기 대비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은 2007년 4분기 -6.5%, 2008년 1분기 -2.7%, 2008년 2분기 -0.5% 였다.
화폐발행잔액은 한은이 발행해 시중에 공급한 화폐 중 환수한 것을 뺀 것이다. 한은으로 돌아오지 않고 남아 시중에서 유통되는 현금 규모를 일컫는다. 통상 경제가 성장하면 한은이 발행한 화폐보다 환수한 금액이 적어 화폐발행잔액은 늘어나게 된다.
화폐발행잔액이 2개 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금리인상 여파 때문으로 분석된다. 은행에 예금을 하면 한은으로 환수되면서 화폐발행잔액이 주는데, 금리상승 여파로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이 늘어난 것이 화폐발행잔액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한은은 "(지난해 이후)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화폐 수요가 줄었다"면서 "통화정책의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기 때문에 (최근 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올해 1분기에도 화폐발행잔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2021년 8월 1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섰다. 그 뒤로 2021년 11월, 2022년 1·4·5·7·8·10·11월과 올해 1월까지 1년 5개월 사이 총 10차례 금리를 인상해 연 0.50%였던 기준금리가 3.50%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예금은행 수신금리는 지난해 1분기 1.70%, 2분기 2.10%, 3분기 3.10%, 4분기 4.17%까지 상승했다가 올해 1분기 3.64%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화폐발행잔액을 권종별로 보면 1분기 말 기준 5만원권 잔액이 152조3017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0.4%(6389억원) 감소하며 2개 분기 연속 줄었다. 5만원권이 유통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잔액이 연속 감소한 것은 처음이다.
1만원권 잔액은 지난해 4분기 말 16조3750억원에서 올해 1분기 말 16조1384억원으로 1.4%(2365억원)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