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기차 치중' 정책추진에 국내 車업계 '촉각'

2032년까지 자국서 판매되는 신차의 3분의 2를 전기차로 대체하는 규제안 마련 미국 환경보호청, 구체 규제안 12일발표…강제조항 여러 경우 수 대비 검토나서

2023-04-10     이코노텔링 김승희기자

미국 정부가 2032년까지 자국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3분의 2(67%)를 전기차로 대체하기 위한 규제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자 국내 자동차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구체적 규제 내용을 오는 12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할 예정이다.

뉴욕타임스(NYT)와 로이터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발표할 승용차 및 소형트럭 탄소 배출 규제안은 2027∼2032년 총 판매 차량의 배출가스 한도 제한을 통해 사실상 2032년까지 전체 차량의 3분의 2를 전기차로 채우도록 강제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신차 중 전기차 비중은 5.8%다. 이런 기준이 실제로 적용되면 현대자동차와 기아를 포함해 미국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는 완성차업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판매량을 합친 지난해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은 3.9%. 두 회사가 전동화 전환을 서두르고 미국 현지공장에서 전기차 생산도 시작했지만, 2032년까지 10년 안에 전기차 판매 비중을 67%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애널리스트와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한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2030년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을 58%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기아도 5일 인베스터 데이에서 경영 전략을 발표하면서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 목표를 47%로 잡았다.

이처럼 67%라는 목표치는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과 전략을 고려할 때 매우 급진적인 수준의 상향 조정이다. 따라서 업계의 생산·판매 역량이 이를 단기간에 따라갈 수 있을지 미지수다.

국내 자동차업계는 규제안에 실제로 어떤 강제조항이 담길지 여러 경우의 수를 놓고 검토하고 있다. 67%라는 비율이 자동차산업 전반의 전기차 '보급 목표'인지, 업체별 판매 비중에 따라 불이익을 주겠다는 것인지에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