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17:35 (금)
"코로나의 그늘… 하루 1.9달러 연명 세계 극빈층 증가"
"코로나의 그늘… 하루 1.9달러 연명 세계 극빈층 증가"
  • 이코노텔링 고윤희기자
  • yunheelife2@naver.com
  • 승인 2020.09.16 0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빌게이츠재단 분석…선진국과 후진국의 대응 여력에 큰 격차
선진국 GDP의 22% 경기부양에 썼지만 최빈국들은 고작 3%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인 빌 게이츠와 그의 부인이 공동으로 설립한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올해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전 세계 극빈층이 20년 만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인 빌 게이츠와 그의 부인이 공동으로 설립한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올해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전 세계 극빈층이 20년 만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사진=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인 빌 게이츠와 그의 부인이 공동으로 설립한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올해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전 세계 극빈층이 20년 만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사진=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재단은 14일(현지시간) 발간한 연례보고서 '골키퍼스'에서 워싱턴대 의과대학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의 추정치를 인용해 극빈층이 올해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수개월 만에 3200만명(7%) 증가했다고 전했다.

극빈층은 하루 1.9달러(약 2250원) 이하로 생활하는 소득계층이다. 이들이 전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1990년 35%를 웃돌았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해에는 6.7%였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19의 경제적 타격이 저소득 국가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커 불평등이 개선되기는커녕 악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세계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각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18조달러(2경1294조)를 투입했지만 선진국과 후진국의 대응 여력에 큰 격차를 보였다고 재단은 지적했다.

실제로 G20(주요 20개국) 국가는 GDP의 22%에 해당하는 돈을 경기부양에 쏟아 부은 반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저소득 국가는 그 비율이 평균 3%에 머문 것으로 추산됐다.

재단은 코로나19 여파로 세계경제가 내년 말까지 12조달러(1경4196조)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2배에 해당한다. 재단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재단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천한 모든 백신을 맞은 세계 아동의 비율은 지난해 84%에서 올해 70%로 떨어졌다며 백신 접종률이 "25주 만에 25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고 지적했다.

재단은 유엔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포함된 18개 지표를 추적하는데 올해 들어 빈곤율 등 대부분 지표가 악화했다고 전했다. 빌 게이츠 회장은 이번 보고서 내용을 설명하면서 "이는 거대한 후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29번지 (서울빌딩)
  • 대표전화 : 02-501-63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재열
  • 발행처 법인명 : 한국社史전략연구소
  • 제호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 등록번호 : 서울 아 05334
  • 등록일 : 2018-07-31
  • 발행·편집인 : 김승희
  • 발행일 : 2018-10-15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코노텔링(econotelling).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unheelife2@naver.com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재열 02-501-6388 kpb11@hanmail.net
ND소프트